작성일 : 24-01-01 07:18
새해를 맞으며
 글쓴이 : dowon
조회 : 503  

새해 행복하세요! 새삼 독자 여러분들께 새해 인사를 올리며, 차제에 이른바 ‘신년 덕담’을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행복한 새해를 시작하기 위하여, 누구나 스스로 마음가짐부터 새롭게 하리라 생각합니다. “마음은 모든 것의 뿌리와 같고, 모든 일 앞서가는 머리와 같네. 모든 것 마음에서 비롯되므로, 말하고 움직임이 그를 따르네. 마음이 맑지 않고 어두워지면, 말이나 살아감도 그와 같아서, 괴로움 따라옴이 수레바퀴가 끄는 소 발자국을 따르듯 하리.” 이는 잘 알려진 <법구경>의 첫 번째 게송으로, 산승이 운역하며 이름부친 “깨침의 노래” 첫 구절입니다. 불교인들은 수행이나 어떤 일을 시작할 때에 가장 먼저 마음을 가다듬고 맑히기 위하여, 우선 지난 세월의 모든 허물과 잘못을 ‘참회’ 즉, 뉘우치고 사과하며 청소하고 정리한 뒤에, 앞으로의 희망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발원’ 즉, 훌륭한 삶을 살겠다고 다짐하는 기회를 가집니다. 멋진 탑이나 좋은 집을 짓기 위하여 먼저 터를 잘 닦고, 이어서 계획한 설계도를 설정 제시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지요. 누구나 어떤 삶을 살거나 일을 하려면 나름 비슷한 과정과 계기를 가지리라 짐작하며, 이제 그 한 예를 들어 보려 합니다.

신행인들에게 익숙할 ‘십악참회’와 ‘십선발원’을 되새겨 봅니다. 십악참회는 그 뜻대로, 우리 생활에서 주목할 열 가지 나쁜 악에 대한 각 부분을 되새기며, 만약 그러한 잘못이 있다면 들어내어 사과하고 용서를 빌고 맑히는 것입니다. 첫째는, ‘살생’ 즉, 생명을 죽이거나 해치는 악; 둘째는 ‘투도’ 즉, 남의 물건 등을 훔치는 악; 셋째는 ‘사음’ 즉, 삿된 음행으로 남의 정조나 부부생활을 망치는 악; 넷째는 ‘망어’ 즉, 남을 속이려 거짓말을 하는 악; 다섯째는 ‘기어’ 즉, 남을 홀리려 듣기 좋게 꾸며대는 말을 하는 악; 여섯째는 ‘양설’ 즉, 남에게 두말을 하여 그 사이를 가르고 나쁘게 하는 악; 일곱째는 ‘악구’ 즉, 남에게 욕이나 험한 말을 하는 악; 여덟째는 ‘탐애’ 즉, 남의 것을 가지려고 욕심을 내는 악; 아홉째는 ‘진에’ 즉, 남에게 화를 내거나 미워하는 악; 열째는 ‘치암’ 즉, 어리석고 어두운 악을 가리킵니다. 이들을 행위별로 묶어 보면, 몸으로 짓는 세가지 (살생, 투도, 사음), 입으로 짓는 네가지(망어, 기어, 양설, 악구), 마음으로 짓는 세가지(탐애, 진에, 치암)의 악행으로서, 행동과 언어와 의지의 해악에 유념하여 과거 죄업을 반성 분석하고 개선 광정하여 재발을 방지하는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십선발원은 앞에 열거한 악행을 아니하려고 노력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에 대조되는 선행을 하겠다는 서원입니다. 곧 되새겨 보면, 생명을 살리고 도움; 남에게 베풀고 나눔; 바람직한 성생활; 진실하게 말함; 정직하게 말함; 화합시키는 말을 함; 부드럽게 말함; 뜻을 절제하고 만족함; 남에게 겸손하고 친절하게 함; 밝고 지혜롭게 행동함을 가리킵니다. 산승의 입장에서는, 십악을 멀리하고 십선의 삶을 살아야 함은 수행자 신분과 계율 윤리규정에 포함되어 있고 하여 그 구체적 실천에 최선을 다함이 본분 사명이며 당연한 의무라고 생각하고, 상황에 대처합니다. 승가 전통에서는 공동체 행사로서 한 달에 두 번(초하루 보름)씩 포살(계율을 외우고 참회 발원하는 의식)을 해오고 있지요. 아무튼, 누구라도 각자 형편에 따라서 적당한 시간과 공간을 정하여 나름 참회와 발원의 기회를 자주 가짐은 생활의 건전과 영적 성숙을 위하여 바람직한 일이며 좋은 습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해의 계획과 발원의 하나로서, 일상생활을 건강하고 신선하게 꾸려가기 위하여 반성 참회와 기도 발원을 꾸준히 해나가려는 다짐을 해봄도 개인이나 사회적으로 평화와 발전에 유익하고 필요하며 권장할 것입니다. “날마다 좋은 날!” 건강히 누리시길 축원 드리며, 고성에서, 진월 세배   


관리자 24-01-01 10:43
 
 
 

Total 1,20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01 불기를 되새기며 (1) dowon 03-27 54
1200 삼월 생각 (1) dowon 03-11 115
1199 선객한담 (1) dowon 02-26 135
1198 봄맞이 (1) dowon 02-11 185
1197 시절 단상 (1) dowon 01-29 166
1196 승만부인의 찬불과 원력 (1) dowon 04-13 421
1195 석존 찬탄 노래 이부 (1) dowon 04-12 406
1194 석존 찬탄 노래의 일부 (1) dowon 04-11 415
1193 적멸의 상태는 설명 불가 (1) dowon 04-08 401
1192 붓다의 열반이후 세계 (1) dowon 04-06 436
1191 응공(아라한)의 성취 내용 (1) dowon 04-05 383
1190 석존 교화의 우선 순위 (1) dowon 04-04 462
1189 석존과 그 제자들의 차이 (1) dowon 04-03 434
1188 석존의 전생 보살행 (1) dowon 04-02 423
1187 석존의 존재론적 특성 (1) dowon 04-01 411
1186 법신의 인식과 향유 (1) dowon 03-31 379
1185 붓다는 담마의 설파자 (1) dowon 03-29 443
1184 붓다와 담마는 일체 (1) dowon 03-28 367
1183 석존 자질에 대한 인식과 표현 (1) dowon 03-27 435
1182 석존의 대열반 (입적서거) (1) dowon 03-25 459
1181 석존 최후의 유훈 (1) dowon 03-24 448
1180 석존 일생의 마무리 (1) dowon 03-23 433
1179 석존의 취침 관행 (1) dowon 03-22 446
1178 석존의 출산 축원 일화 (1) dowon 03-21 436
1177 석존의 간병 교훈 (1) dowon 03-20 371
1176 석존의 질환 극복방편 (1) dowon 03-19 411
1175 석존의 고통 대치 (1) dowon 03-18 524
1174 석존의 감기 대응 (1) dowon 03-17 426
1173 석존의 피로 대처일화 (1) dowon 03-16 444
1172 지도자에게 필요한 고독 (1) dowon 03-15 385
1171 석존의 살림살이 특성 (1) dowon 03-14 429
1170 석존 제자들의 적정 정념 (1) dowon 03-13 417
1169 석존의 고요한 생활 (1) dowon 03-12 429
1168 앙구리마라 관련2 (1) dowon 03-11 461
1167 앙구리마라 교화 이야기 (1) dowon 03-10 544
1166 사나운 코끼리의 교화 (1) dowon 03-08 488
1165 청부 암살자의 교화 (1) dowon 03-07 418
1164 방자한 이가 조복당함 (1) dowon 03-06 455
1163 재가자의 아만을 조복한 일 (1) dowon 03-05 454
1162 석존의 악인교화 선례 1 (1) dowon 03-04 456
1161 석존의 의복과 설법 정황 (1) dowon 03-03 449
1160 석존의 식생활 단면 (1) dowon 03-02 483
1159 외도가 관찰한 석존의 모습 (1) dowon 03-01 434
1158 석존의 과거생 살림살이 (1) dowon 02-29 458
1157 붓다의 상호 배경과 원인 (1) dowon 02-28 464
1156 석존의 소박한 모습 (1) dowon 02-27 410
1155 석존의 유일한 특성과 자질 (1) dowon 02-26 481
1154 석존에 대한 신들의 찬사 (1) dowon 02-24 481
1153 진리 가르침의 경이로움 (1) dowon 02-23 425
1152 안으로 자기를 찾아보라 (1) dowon 02-22 427
1151 석존의 선교방편 1 (1) dowon 02-21 391
1150 석존의 교화 방편 (1) dowon 02-20 453
1149 석존의 자비와 제자공동체 (1) dowon 02-19 419
1148 석존의 자비 교화방편 (1) dowon 02-18 451
1147 석존의 제자들 포교 파송 (1) dowon 02-17 436
1146 진리의 스승인 붓다 (1) dowon 02-16 412
1145 석존의 초전법륜: 사성제 (1) dowon 02-15 405
1144 석존의 최초설법: 중도 (1) dowon 02-14 387
1143 석존의 최초제자 5명 인연 (1) dowon 02-13 483
1142 석존의 최초설법 대상 (1) dowon 02-12 423
1141 석존의 설법 결심 (1) dowon 02-11 441
1140 여래 붓다는 세상의 빛 (1) dowon 02-10 460
1139 제자들에게 길을 지시하는 여래 (1) dowon 02-09 417
1138 붓처님의 위대한 능력 (1) dowon 02-08 482
1137 여래 출현의 배경과 목적 (1) dowon 02-07 408
1136 "여래" 의미와 공능 (1) dowon 02-06 475
1135 담마(진리 법)에 대한 존경 (1) dowon 02-05 482
1134 석존의 "옛길 (팔정도)" 발견과 안내 (1) dowon 02-04 404
1133 석존의 성도 열반 (1) dowon 02-03 454
1132 석존의 해탈 성취 (1) dowon 02-02 436
1131 석존의 성도 상황 (1) dowon 02-01 422
1130 석존의 성도과정4 (1) dowon 01-31 470
1129 석존의 성도과정3 (1) dowon 01-30 446
1128 석존의 성도과정 2 (1) dowon 01-29 430
1127 석존의 성도과정 (1) dowon 01-28 457
1126 석존의 절식고행 체험과정 (1) dowon 01-27 495
1125 석존 고행과정: 호흡중지 체험 (1) dowon 01-26 478
1124 석존의 고행 과정과 결과1 (1) dowon 01-25 451
1123 석존의 고행수행3 (1) dowon 01-24 450
1122 석존의 고행 수행2 (1) dowon 01-23 435
1121 석존의 고행 수행 1 (1) dowon 01-22 427
1120 요가 선정적 수행 경험 (1) dowon 01-21 479
1119 석존의 수행과정 모습 (1) dowon 01-20 535
1118 성도절을 지내며 (1) dowon 01-19 487
1117 석존의 출가 상황 (1) dowon 01-18 483
1116 고귀한 탐색과 용기 (1) dowon 01-17 495
1115 감각적 쾌락의 한계와 위험 및 그 초월 (1) dowon 01-15 515
1114 석존의 출가전 젊은 시절 (1) dowon 01-13 527
1113 석존 탄생 관련 7 (1) dowon 01-12 548
1112 석존 탄생 관련 6 (1) dowon 01-11 537
1111 석존 탄생관련 5 (1) dowon 01-10 549
1110 석존 탄생 관련 4 (1) dowon 01-09 482
1109 석존탄생 관련3 (1) dowon 01-08 512
1108 석존탄생 관련2 (1) dowon 01-07 525
1107 부처님 탄생 이야기 1 (1) dowon 01-06 542
1106 부처님의 출현 (1) dowon 01-05 564
1105 새해의 법공양 안내 (1) dowon 01-04 538
1104 새해를 맞으며 (1) dowon 01-01 504
1103 부처님 가르침 따라 살아가는 보람을 (1) dowon 12-31 571
1102 사견을 통해 성인을 오해하지 말지니 (1) dowon 12-30 535
 1  2  3  4  5  6  7  8  9  10